Database SQL/Oracle

[DB#03]오라클 데이터베이스(Oracle Database) 사용자 관리

양동민 2020. 11. 17. 02:44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기준

 

데이터를 저장해놓고 불러와서 화면에서 표시해주는 상황이 생긴다.

 

관리자로 로그인하여 고객, 회원들의 정보(회원 가입일, 최종 접속일, 생일, 이름 등)를 저장해놓고 사용한다면

 

지금까지는 저장을 자바에서는 변수, 배열, 객체로 만들어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했다.

 

자바에서 만들어온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정보가 소멸된다. 1회성 데이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통 정보를 저장할 때, 파일, 엑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고 한다. 엑셀은 표의형태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쓰는 기업들이 아직도 많지만, IT기업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무조건 저장한다고 한다. 

 

파일과 엑셀에 정보를 저장했을 시 문제가 발생한다.

 

호환 문제, 보안 문제, 관리(성능) 문제 등이 있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는 아니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안전하고 프로그램형태로 관리한다.

 

여기서 DB=DataBase(저장소)와

DBMS=DataBaseManagementSystem(저장소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있다.

DBMS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다.

DBMS의 종류로는 MS-SQL, mySQL, redis, Oracle, sql-lite 등이 있으며, 관리자(DBA)는 따로 있다.

 

프로그램에서 관리하던 데이터를 저장, 조회, 수정, 삭제(CRUD)하는 작업을 하는데, Create, Read, Update, Drop의 약자이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동시에 여러명이 접근해야하므로 각각 하느일이 달라야한다.

-누군가는 관리를 하고, 누군가는 이용을 하는 식으로 구분이 되어야 한다.

-관리자, 이용자, ...

-오라클에서는 관리자를 system이라고 한다.

-관리자의 역할은 이용자(user)들을 관리(CRUD)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이나 전체적인 설정 및 관리를 수행한다.

 

Run SQL Command Line 창에서 뭔가를 만들땐, create라는 명령이 있다.

user를 생성(Create)할 때는 create user 아이디 identified by 비밀번호; 로 생성한다.

 

조회(Read)는 select username from dba_users; 라고 하면 이용자를 조회할 수 있다.

 

조회해보면 아이디가 모두 대문자로나오는데, 오라클 특징이 문자열빼고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않는다는 것이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언어는 대문자로 쓰고 ;만 잘쓰면 상관없다.

 

사용했던 명령들은 f7을 누르면 썼던 명령들이 나오고 창을 끌때는 Esc를 통해 끄면 된다. 그냥 키보드 위아래버튼을 통해 올려볼 수도 있다.

 

이용자를 변경할 시 아이디는 바꿀 수없고, 비밀번호는 바꿀 수 있다. 변경은 alter라는 명령어가 있다.

alter user 아이디 identified by 새로운비밀번호; 하면 비밀번호가 바뀐다. CRUD중 수정(U에 해당)이다.

 

drop user 아이디; 를 하면 이용자를 삭제할 수 있다.

 

관리자가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사용자 관리다.